지난번 포스팅에서 서버 이전 시 목표 정하기와 이전 "사" 선택에 대한 고민과 결정 사항에 대하여 이야기 했습니다.
리눅스 서버 이전 및 마이그레이션 하기(2). -전 목표 정하기.
그리고 마지막에 무중단 이전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 하기로 했는데요이 이야기는 서버 셋팅 및 신규 서버가 셋팅 완료 후에 다시 이야기 하기로하고
기초 셋업을 위한 서버 셋업 먼저 이야기 하겠습니다.
제 기존(AS-IS) 서버는 1U 폼펙터에 조립 PC급의 서버 였습니다.
서버라고 하기엔 1U 케이스와 파워서플라이 뿐이고 남어지 부품들은 모두
집에서 굴러다니던 부품으로 조립하였습니다...서버라고 할 것 까지야..
일단은 사고 없이 몇년을 잘 사용했으니 서버에 감사를 느끼며.. 이제 그만 수고를 덜어 줘야 겠네요.
신규(TO-BE) 서버는 모델 및 기종은 모릅니다. 가상화 호스팅 으로 조그만 방만 빌려 사용 할 것이기에...
일단은 그 조그만 방이 기존 서버 보다 스펙 사양이 더 좋기에... 일단 시작은 만족 합니다.
금번 리눅스 가상호스팅서버를 신청 할때 가상 VM만 제공 하여 주고 제가(신청자가) 스스로 OS 및
남어지 셋팅만 인줄로 알고있었습니다...
(아마존 웹서비스가 이러한 방식입니다. 서버 CPU/MEM/DISK 선택 , OS 종류(버전)선택, 하여
인스턴스를 추가 하기 똭 누르면 불과 몇분 (30분 내외) 만에 OS가 딱 만들어 집니다....물론 IP까지 부여 되고 말이죠.
이건 간단하게 만 설명 한 것이구요.. 중간 중간 IAM 및 기타 보안 설정 및 기타 등등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신청한건 신청시 서비스 등급을 선택 하면 CPU/MEM/DISK/NW가 고정이고 단지 선택 가능한건
OS 종류 입니다. 리눅스 버전 종류라고 해야 맞겠죠...
4가지를 선택 하고 나서 신청 하고 결재 하면 약 1시간 정도 후에 문자와 메일이 옵니다. 서버 셋팅 완료 되었으며, IP가 부여 되었다고..
신청시 지정해둔 패스워드가 root 패스워드가 됩니다.
뭐 비슷하지만.. AWS가 선택의 폭이 약간은 넓은 정도가 되겠네요..편의 성으로 따지면 금번 신청한 가상호스팅서버가 더 편하네요..
장단점은 개인의 몫이겠죠...
AWS 보다 약간 편한건 서버 OS 신청시에 APM 추가 셋팅을 신청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적어도 웹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셋팅은
(소프트웨어 설치조건은) 만족 하게 됩니다. 물론 APM 추가 설치 조건의 추가 비용은 없습니다.
초기 설치비 20,000원에 포함되는지는 모르겠네요.....
자 서버 OS 설치 완료 되었고,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도 설치가 되었고, 접속 및 웹 서비스를 위한 공인 IP 까지 부여가
완료된 상태 입니다.
[확인사항. phps.kr의 가상호스팅 신청시 cpu 정보가 없습니다. 찾아 봐도 없더군요... 설마 서버급 cpu사용을 하지 않는건 아니겠지..
반신 반의 하며 완료 후에 cpu 정보를 확인 하여 보니 역시 xeon 이더군요... 음... 괜한 걱정이였나 봅니다...]
간단하게 내가 신청한 서버 정보에 대하여 확인 하는법입니다.
리눅스 우분투 입니다.
OS 버전 보기 cat /proc/version 우분투 버전이 나옵니다.
CPU 정보 보기 cat /proc/cpuinfo CPU core 개수, GHz, CPU 정보가 나옵니다.
MEM 정보 보기 cat /proc/meminfo 메모리 정보가 보입니다. 첫줄에 토탈 메모리가 나옵니다.
disk 총 할당된 용량 df -h 로 총 용량 합하시면되요.
간단 합니다.....
그리고 추가 설치 요청 진행한 APM 설치 버전 확인
dpkg -l 에 대한 전체 설치된 패키지는 너무 길어서 중략 했습니다.....
자 이렇게 서버 셋팅이 완료 되었습니다.
좀 줄여서 나눠 올릴게요..
다음번엔 각 설치된 APM에 대한 부가 적인 셋팅을 하고
간단히 웹페이지 적용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참고..
321
답글삭제